라벨이 고령 지산동 고분인 게시물 표시

대가야 무덤에서 출토된 판갑옷과 투구 – 아이도 이해할 수 있는 갑옷 이야기

이미지
옛날 아주 오래전, 약 1500년 전의 대가야라는 나라가 있었습니다. 그 나라에는 강하고 용감한 무사들이 있었어요. 이 무사들은 전쟁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특별한 갑옷과 투구를 썼답니다. 1978년, 고령 지산동이라는 곳에서 아주 특별한 무덤이 발견되었어요.  그곳에서 오래된 갑옷과 투구가 흙 속에 잠들어 있었지요. 이 갑옷은 단순히 철 조각이 아니라, 그 당시 무사들의 기술과 문화, 용기를 보여주는 소중한 유산이랍니다.  우리가 이 이야기를 공부하면, 옛날 무사들의 삶과 생각, 그리고 가야라는 나라가 얼마나 뛰어났는지를 알 수 있어요. 지금부터 그 갑옷에 대해 쉽게, 하나씩 알아볼게요. 대가야 무덤에서 출토된 판갑옷과 투구 – 아이도 이해할 수 있는 갑옷 이야기 1. 가야 사람들이 만든 철 갑옷 철판으로 만든 특별한 갑옷 가야 사람들은 튼튼한 철을 이용해 갑옷을 만들었어요. 처음에는 가죽이나 나무로 갑옷을 만들었지만, 시간이 지나 철로 바뀌었답니다. 특히 ‘판갑옷’이라는 갑옷은 큰 철판 여러 개를 연결해서 만들었어요. 갑옷은 앞뒤 몸통과 어깨를 덮는 부분으로 나뉘는데, 몸을 잘 보호해주는 구조였지요. 무게는 무거웠지만 튼튼했고, 적의 무기를 막아주었답니다. 가야 무사들은 이 갑옷을 입고 용감하게 싸웠어요. 움직임보다 방어력이 중요했어요 판갑옷은 비늘처럼 작은 조각을 연결한 갑옷보다 움직이기 어렵지만, 훨씬 튼튼했어요. 그래서 보병, 즉 말을 타지 않고 걸어 다니는 무사들이 주로 입었어요. 비늘갑옷은 가볍고 움직이기 좋아서 말을 타는 무사에게 좋았고요. 각각의 장점이 있었지만, 가야 무사들은 판갑옷을 입고 싸우는 걸 자랑스럽게 여겼답니다. 전쟁터에서 자신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으니까요. 2. 투구와 어깨 보호 장비 머리를 지켜주는 투구 고령 지산동 무덤에서 나온 투구는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철모예요. 살구씨처럼 생긴 모양이 아주 특이하지요? 이 투구는 8개의 철판을 이어서 만들었는데, 위쪽에는 머리를 덮고, 아래쪽에는 목을 감싸는 부분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