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혼천의인 게시물 표시

하늘을 담은 조선의 과학기계, 혼천의 이야기

이미지
옛날 사람들은 밤하늘을 자주 바라보았습니다. 별이 왜 반짝이는지, 해는 왜 뜨고 지는지, 달의 모양은 왜 바뀌는지를 궁금해했습니다. 지금처럼 스마트폰이나 달력, 시계가 없던 시절에는 하늘을 잘 관찰해야 계절을 파악하고 농사도 지을 수 있었습니다. 사람들은 하늘의 움직임을 좀 더 정확하게 알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해와 달, 별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기계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그것이 바로 조선 시대의 과학기계, ‘혼천의’입니다. 혼천의는 하늘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지구 위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만든 도구입니다. 별자리의 위치나 해, 달의 움직임을 볼 수 있었고, 계절과 시간의 흐름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혼천의는 단순한 도구가 아닌, 하늘을 향한 사람들의 궁금증과 관찰력, 그리고 과학의 힘이 담긴 기계였습니다. 하늘을 담은 조선의 과학기계, 혼천의 이야기 혼천의는 어떤 기계입니까? 혼천의는 둥근 고리들이 겹겹이 이어져 있는 모양의 기계입니다. 이 고리들은 해가 움직이는 길, 달이 떠오르고 지는 길, 별자리가 따라가는 길을 나타냅니다. 이 고리들이 서로 연결되어 돌아가기 때문에, 마치 하늘의 움직임을 그대로 따라가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 기계는 조선 세종대왕 시절, 장영실이라는 과학자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세종대왕은 백성들이 정확한 시간을 알고 계절을 파악하여 삶에 도움이 되길 바랐습니다. 그래서 천문학자들과 과학자들에게 혼천의 제작을 명령했습니다. 그 결과로 정초, 정인지 같은 학자들이 문헌을 조사하고, 이천과 장영실이 실제 제작을 담당하여 혼천의를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이후에도 혼천의는 계속 발전했습니다. 효종 시대에는 최유지, 현종 시대에는 송이영이라는 과학자가 혼천의를 새롭게 제작하거나 개량했습니다. 특히 송이영이 만든 혼천의는 서양 시계의 원리를 반영하여, 무게추를 이용한 자동 회전 기능까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혼천의는 어떤 구조로 되어 있습니까? 첫째, 방향을 알려주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은 ‘육합의’라고 하며, 동, 서, 남, 북의 방향뿐 아니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