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무 30년 청곡사명 청동은입사향완 – 조선시대 불교 공예의 정수

고려의 문화를 계승하고 조선의 기틀을 세우던 시기, 한 점의 공예품이 제작되었습니다. 그것은 단지 불을 담는 향로가 아니라, 새로운 왕조의 정신을 담은 상징이었습니다. 바로 ‘홍무 30년 청곡사명 청동은입사향완’입니다. 이 향완은 조선 초기, 정확히는 1397년에 제작된 것으로, 조선시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청동은입사향완입니다. 높이 39cm의 이 향완은 통일신라와 고려의 불교 조각 전통을 잇고 있으며, 특히 은입사 기법과 범자의 표현에서 예술성과 종교적 상징이 고스란히 드러납니다. 신덕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제작되었다는 명문은 이 향완의 역사적 무게를 더합니다. 본 글에서는 이 유물의 기형과 장식, 시대적 배경과 정치적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려 합니다. 홍무 30년 청곡사명 청동은입사향완 – 조선시대 불교 공예의 정수 1. 청동은입사향완의 구조와 조형미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 향완의 형태 이 향완은 받침, 간주, 노신의 세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받침은 3단이며, 상단에는 연화당초문, 중단에는 뇌문, 하단에는 무문 외반부가 위치합니다. 간주는 나팔형으로, 하단엔 연판문, 상단엔 여의두문을 은입사로 표현하였고, 노신 아래 2단의 원륭대는 각각 뇌문과 연판문으로 장식되었습니다. 전체 구조는 안정적이면서도 화려한 문양을 품고 있어 시각적으로도 조화롭습니다. 정교한 문양과 은입사의 조화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은입사 기법입니다. 유운문, 앙련의 연판문대, 연화당초문이 정교하게 새겨졌으며, 이는 단지 장식을 위한 요소가 아니라, 불교의 세계관과 미적 가치를 함께 담아내고자 한 결과입니다. 문양 하나하나에 담긴 상징성은 당시 장인의 수준 높은 기술과 더불어 불교 신앙의 깊이를 엿보게 합니다. 범자의 상징성과 독창성 이 향완의 핵심은 범자입니다. 중심에 여의두문을 배치하고, 그 안에 다시 원을 그려 ‘aṃ, hmaṃ, dme, ya, tgi, ma’라는 여섯 글자의 범자를 정밀하게 은입사했습니다. 조선시대 향완 중 이렇게 여섯 자의 범자를 새긴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