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조선과학기술인 게시물 표시

하늘을 담은 조선의 과학기계, 혼천의 이야기

이미지
옛날 사람들은 밤하늘을 자주 바라보았습니다. 별이 왜 반짝이는지, 해는 왜 뜨고 지는지, 달의 모양은 왜 바뀌는지를 궁금해했습니다. 지금처럼 스마트폰이나 달력, 시계가 없던 시절에는 하늘을 잘 관찰해야 계절을 파악하고 농사도 지을 수 있었습니다. 사람들은 하늘의 움직임을 좀 더 정확하게 알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해와 달, 별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기계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그것이 바로 조선 시대의 과학기계, ‘혼천의’입니다. 혼천의는 하늘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지구 위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만든 도구입니다. 별자리의 위치나 해, 달의 움직임을 볼 수 있었고, 계절과 시간의 흐름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혼천의는 단순한 도구가 아닌, 하늘을 향한 사람들의 궁금증과 관찰력, 그리고 과학의 힘이 담긴 기계였습니다. 하늘을 담은 조선의 과학기계, 혼천의 이야기 혼천의는 어떤 기계입니까? 혼천의는 둥근 고리들이 겹겹이 이어져 있는 모양의 기계입니다. 이 고리들은 해가 움직이는 길, 달이 떠오르고 지는 길, 별자리가 따라가는 길을 나타냅니다. 이 고리들이 서로 연결되어 돌아가기 때문에, 마치 하늘의 움직임을 그대로 따라가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 기계는 조선 세종대왕 시절, 장영실이라는 과학자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세종대왕은 백성들이 정확한 시간을 알고 계절을 파악하여 삶에 도움이 되길 바랐습니다. 그래서 천문학자들과 과학자들에게 혼천의 제작을 명령했습니다. 그 결과로 정초, 정인지 같은 학자들이 문헌을 조사하고, 이천과 장영실이 실제 제작을 담당하여 혼천의를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이후에도 혼천의는 계속 발전했습니다. 효종 시대에는 최유지, 현종 시대에는 송이영이라는 과학자가 혼천의를 새롭게 제작하거나 개량했습니다. 특히 송이영이 만든 혼천의는 서양 시계의 원리를 반영하여, 무게추를 이용한 자동 회전 기능까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혼천의는 어떤 구조로 되어 있습니까? 첫째, 방향을 알려주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은 ‘육합의’라고 하며, 동, 서, 남, 북의 방향뿐 아니라 ...

측우기, 조선이 만든 세계 최초의 비 측정 도구

이미지
비가 내리는 날, 우리는 우산을 챙기고 날씨 앱을 확인해요. 그런데 아주 오래 전 조선 시대에는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어떻게 알았을까요? 바로 ‘측우기’라는 특별한 도구를 만들었어요. 측우기는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숫자로 정확히 재는 기계였어요. 놀랍게도 이 도구는 세계에서 가장 먼저 조선에서 만들었답니다. 특히 세종대왕 시대에 만들어졌고, 이 도구를 사용해서 농사를 잘 지을 수 있도록 도왔어요. 이번 글에서는 측우기가 어떻게 만들어졌고, 왜 중요했는지, 또 나중에는 어떻게 다시 복원되었는지를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알기 쉽게 알려줄게요. 측우기, 조선이 만든 세계 최초의 비 측정 도구 측우기의 탄생 – 비를 숫자로 재기 시작했어요 세종대왕의 아들, 세자가 실험을 했어요 조선 시대에는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눈으로 보고 땅이 얼마나 젖었는지 살펴보는 식으로 확인했어요. 그런데 이 방법은 정확하지 않았어요. 그래서 세종대왕의 아들이었던 세자가 구리 그릇을 만들어서 직접 비를 받아보는 실험을 했어요. 그걸 계기로 ‘측우기’를 만들자는 이야기가 나왔어요. 세종대왕은 서운관이라는 천문 기구를 만드는 기관에 명령해서, 높이 2척, 지름 8촌인 쇠그릇을 만들게 했어요. 이 그릇은 돌로 만든 받침대 위에 올려두고, 비가 오면 빗물을 받아서 자로 깊이를 재는 방식이었어요. 숫자로 비의 양을 재는 시대가 열렸어요 측우기는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척, 촌, 분'이라는 단위로 재었어요. 이것은 지금의 센티미터처럼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예요. 조선 전역에 측우기를 설치해서 각 지역에서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기록하고, 임금에게 보고하게 했어요. 이 덕분에 비가 오지 않아 가뭄이 들거나, 비가 너무 많이 와서 홍수가 날 때, 나라에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었어요. 비를 기다리며, 임금님도 기도했어요 정조 임금님의 기우제와 측우기 조선의 정조 임금님은 비가 오지 않아 백성들이 힘들어할 때, 직접 기우제를 지냈어요. 기우제는 하늘에 비를 내려달라고 기도하는 행사예요. 정조는 남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