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도량형인 게시물 표시

조선의 표준 자, 경신척 – 백성을 위한 과학의 자국

이미지
우리는 일상에서 자로 길이를 재고, 저울로 무게를 달며, 컵으로 물을 잽니다. 이처럼 정확한 기준이 있어야 옷을 만들거나 집을 지을 때 실수가 없겠지요. 그런데 만약 누군가는 짧은 자를 쓰고, 다른 사람은 긴 자를 쓴다면 공정한 거래는 어려울 거예요. 그래서 아주 오래 전부터 사람들은 모두가 똑같이 사용할 수 있는 정확한 '기준'을 만들려고 했어요. 조선 시대의 영조 임금은 1740년에 '경신척'이라는 자를 만들었어요. 이 자는 단순히 길이를 재는 도구가 아니라, 전국 어디서나 똑같이 사용하는 길이의 기준 이었지요. 경신척을 만든 사람은 최천약이라는 훌륭한 기술자였고, 그는 조선에서 아주 유명한 장인이었답니다. 이 경신척은 지금도 국립고궁박물관 에 전시되어 있어요. 280년 가까운 시간이 지났지만, 이 자를 통해 우리는 조선의 과학과, 백성을 생각한 임금님의 마음을 느낄 수 있어요. 조선의 표준 자, 경신척 – 백성을 위한 과학의 자국 세종과 영조, 기준을 세우다 세종대왕: 다섯 개의 자를 만들다 조선의 세종대왕은 백성의 삶을 더 편리하게 만들기 위해 다섯 가지 기준 자를 만들었어요. 자마다 쓰임이 달랐답니다. 황종척 : 악기를 만들 때 사용했어요. 음을 맞추기 위해 꼭 필요했어요. 주척 : 하늘을 관측하거나 제사를 준비할 때 사용했어요. 영조척 : 건물을 지을 때 사용했어요. 예기척 : 왕실에서 사용하는 그릇이나 제사 도구를 만들 때 사용했어요. 포백척 : 옷을 만들거나, 땅을 재는 데 썼어요. 세종대왕은 이 자들을 실제로 만들어 보고, 나라 곳곳에 보냈어요. 그래서 백성들이 똑같은 기준으로 물건을 만들거나 세금을 계산할 수 있었죠. 영조 임금: 경신척을 만들다 세종 때 만든 자들이 오래되어 낡고 없어지자, 영조 임금은 자를 새로 만들기로 해요. 바로 '경신척'이에요. 당시 높은 벼슬을 한 유척기가 “세종이 만든 자가 삼척에 있다”고 알려주자, 영조는 기술자인 최천약에게 새 자를 만들라고 해요. 이 자는 단순히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