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조선의 과학인 게시물 표시

조선의 표준 자, 경신척 – 백성을 위한 과학의 자국

이미지
우리는 일상에서 자로 길이를 재고, 저울로 무게를 달며, 컵으로 물을 잽니다. 이처럼 정확한 기준이 있어야 옷을 만들거나 집을 지을 때 실수가 없겠지요. 그런데 만약 누군가는 짧은 자를 쓰고, 다른 사람은 긴 자를 쓴다면 공정한 거래는 어려울 거예요. 그래서 아주 오래 전부터 사람들은 모두가 똑같이 사용할 수 있는 정확한 '기준'을 만들려고 했어요. 조선 시대의 영조 임금은 1740년에 '경신척'이라는 자를 만들었어요. 이 자는 단순히 길이를 재는 도구가 아니라, 전국 어디서나 똑같이 사용하는 길이의 기준 이었지요. 경신척을 만든 사람은 최천약이라는 훌륭한 기술자였고, 그는 조선에서 아주 유명한 장인이었답니다. 이 경신척은 지금도 국립고궁박물관 에 전시되어 있어요. 280년 가까운 시간이 지났지만, 이 자를 통해 우리는 조선의 과학과, 백성을 생각한 임금님의 마음을 느낄 수 있어요. 조선의 표준 자, 경신척 – 백성을 위한 과학의 자국 세종과 영조, 기준을 세우다 세종대왕: 다섯 개의 자를 만들다 조선의 세종대왕은 백성의 삶을 더 편리하게 만들기 위해 다섯 가지 기준 자를 만들었어요. 자마다 쓰임이 달랐답니다. 황종척 : 악기를 만들 때 사용했어요. 음을 맞추기 위해 꼭 필요했어요. 주척 : 하늘을 관측하거나 제사를 준비할 때 사용했어요. 영조척 : 건물을 지을 때 사용했어요. 예기척 : 왕실에서 사용하는 그릇이나 제사 도구를 만들 때 사용했어요. 포백척 : 옷을 만들거나, 땅을 재는 데 썼어요. 세종대왕은 이 자들을 실제로 만들어 보고, 나라 곳곳에 보냈어요. 그래서 백성들이 똑같은 기준으로 물건을 만들거나 세금을 계산할 수 있었죠. 영조 임금: 경신척을 만들다 세종 때 만든 자들이 오래되어 낡고 없어지자, 영조 임금은 자를 새로 만들기로 해요. 바로 '경신척'이에요. 당시 높은 벼슬을 한 유척기가 “세종이 만든 자가 삼척에 있다”고 알려주자, 영조는 기술자인 최천약에게 새 자를 만들라고 해요. 이 자는 단순히 하나...

조선의 해시계 앙부일구, 세종이 만든 시간을 나누는 과학 유산

이미지
우리가 시계를 보며 하루를 계획하는 건 지금은 너무 당연한 일이지만, 예전에는 시간이 얼마나 지났는지 알기 어려웠어요. 특히 조선 시대 백성들에게는 낮 시간을 확인할 방법이 없었어요. 밤에는 물시계가 있었지만, 해가 떠 있을 때는 대충 짐작으로 시간을 알아야 했지요. 그래서 세종대왕은 낮 시간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앙부일귀'라는 해시계를 만들었어요. 앙부일귀는 '하늘을 올려다보는 솥'이란 뜻인데, 그 모양이 진짜 솥처럼 생겼어요. 이 시계는 길가나 시장에 설치되어 백성들도 쉽게 볼 수 있었고, 누구나 해 그림자를 보고 시간을 알 수 있었지요. 과학을 특별한 사람만이 아니라 모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했던 세종의 생각이 담긴 훌륭한 발명이었어요. 조선의 해시계 앙부일귀, 세종이 만든 시간을 나누는 과학 유산 조선, 시간을 재기 시작하다 앙부일귀는 왜 만들었을까? 세종대왕은 1434년에 '낮 시간도 모두가 알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해시계를 만들게 했어요. 밤에는 자격루 같은 물시계가 있어서 시각을 알 수 있었지만, 해가 떠 있는 시간에는 기준이 없었거든요. 그래서 백성들도 쉽게 볼 수 있는 해시계를 거리에 설치했어요. 앙부일귀는 그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해시계였어요. 반구 모양의 시계판 안에 그림자를 드리우는 바늘(영침)을 꽂고, 해의 그림자가 가리키는 선을 따라 시간을 알 수 있었어요. 이 시계는 궁궐뿐 아니라 시장이나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거리에도 놓였어요. 글 모르는 사람도 쉽게 알 수 있었어요 세종대왕은 앙부일귀에 시간 눈금과 함께 열두 동물(12지신) 그림도 새겼어요. 그래서 글자를 모르는 사람도 어느 동물이 있는 곳에 그림자가 닿는지를 보고 시간을 알 수 있었지요. 예를 들어 '토끼' 그림에 그림자가 닿으면 지금은 토끼 시각이라는 뜻이에요. 이처럼 앙부일귀는 누구나 시간을 알 수 있도록 만든 공공 해시계였어요. 세종대왕은 과학이 특별한 사람들만 쓰는 것이 아니라, 백성 모두에게 필요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