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왕실 출판문화인 게시물 표시

정리자 – 정조의 활자 혁신이 담긴 금속 활자

이미지
조선 후기, 활자와 인쇄에 깊은 관심을 가진 왕이 있었습니다. 바로 정조입니다. 정조는 단지 책을 인쇄하기 위해 활자를 만든 것이 아니라, 활자를 통해 왕실의 위엄과 조선의 문화적 정체성을 보여주고자 했습니다.  그가 특별히 제작한 활자가 바로 ‘정리자(整理字)’입니다. 정리자는 1795년부터 주조를 시작해 1796년에 완성된 활자로, 대자 16만 자와 소자 14만 자 등 무려 30만 자에 이르는 방대한 규모를 자랑합니다. 이 활자는 단지 인쇄용 도구를 넘어 조선 후기 문화유산의 상징이며, 정조의 정치적·문화적 비전을 담은 역사적 결과물이기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정조가 기획하고 제작한 정리자의 역사적 의의, 구조적 특징, 그리고 활자를 통해 보여주고자 한 조선의 문화적 깊이를 살펴보겠습니다. 정리자 – 정조의 활자 혁신이 담긴 금속 활자 정리자, 정리의궤를 위해 만들어진 활자 정리의 의미와 정리소의 설립 ‘정리’는 조선시대에 국왕이 행차할 때, 머물 장소를 새롭게 정비하고 수리하는 일을 말합니다. 정조는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기념하기 위해 1795년 화성으로 대대적인 원행을 떠났고, 이를 준비하기 위해 ‘정리소’를 설치했습니다. 정리소는 단순한 준비 조직이 아니라, 교통, 예산, 물자, 회계 등 모든 실무를 담당하는 종합 행정 기구였습니다. 정조는 이 원행이 백성들에게 폐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국가 재정을 사용하지 않고 환곡 이자 수입으로 비용을 충당하였으며, 남은 금액은 ‘정리곡’으로 돌려주는 세심한 정치를 펼쳤습니다. 원행의궤 인쇄를 위한 정리자 주조 원행 후, 정조는 이 행사의 모든 과정을 기록한 [원행을묘정리의궤]를 간행합니다. 이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활자가 ‘정리자’입니다. 기존의 의궤는 대부분 필사본이었으나, 정리자를 사용한 의궤는 처음으로 금속활자로 인쇄된 의궤였고, 그만큼 널리 보급되기를 원한 정조의 뜻이 담겨 있었습니다. 이 활자의 제작은 단순한 기록 차원을 넘어, 왕실의 권위와 정조의 문예 진흥 정책을 널리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