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해시계 앙부일구, 세종이 만든 시간을 나누는 과학 유산
우리가 시계를 보며 하루를 계획하는 건 지금은 너무 당연한 일이지만, 예전에는 시간이 얼마나 지났는지 알기 어려웠어요. 특히 조선 시대 백성들에게는 낮 시간을 확인할 방법이 없었어요. 밤에는 물시계가 있었지만, 해가 떠 있을 때는 대충 짐작으로 시간을 알아야 했지요. 그래서 세종대왕은 낮 시간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앙부일귀'라는 해시계를 만들었어요. 앙부일귀는 '하늘을 올려다보는 솥'이란 뜻인데, 그 모양이 진짜 솥처럼 생겼어요. 이 시계는 길가나 시장에 설치되어 백성들도 쉽게 볼 수 있었고, 누구나 해 그림자를 보고 시간을 알 수 있었지요. 과학을 특별한 사람만이 아니라 모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했던 세종의 생각이 담긴 훌륭한 발명이었어요. 조선의 해시계 앙부일귀, 세종이 만든 시간을 나누는 과학 유산 조선, 시간을 재기 시작하다 앙부일귀는 왜 만들었을까? 세종대왕은 1434년에 '낮 시간도 모두가 알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해시계를 만들게 했어요. 밤에는 자격루 같은 물시계가 있어서 시각을 알 수 있었지만, 해가 떠 있는 시간에는 기준이 없었거든요. 그래서 백성들도 쉽게 볼 수 있는 해시계를 거리에 설치했어요. 앙부일귀는 그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해시계였어요. 반구 모양의 시계판 안에 그림자를 드리우는 바늘(영침)을 꽂고, 해의 그림자가 가리키는 선을 따라 시간을 알 수 있었어요. 이 시계는 궁궐뿐 아니라 시장이나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거리에도 놓였어요. 글 모르는 사람도 쉽게 알 수 있었어요 세종대왕은 앙부일귀에 시간 눈금과 함께 열두 동물(12지신) 그림도 새겼어요. 그래서 글자를 모르는 사람도 어느 동물이 있는 곳에 그림자가 닿는지를 보고 시간을 알 수 있었지요. 예를 들어 '토끼' 그림에 그림자가 닿으면 지금은 토끼 시각이라는 뜻이에요. 이처럼 앙부일귀는 누구나 시간을 알 수 있도록 만든 공공 해시계였어요. 세종대왕은 과학이 특별한 사람들만 쓰는 것이 아니라, 백성 모두에게 필요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