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훈민정음인 게시물 표시

한글의 설계도, 훈민정음 해례본의 위대함

이미지
훈민정음 해례본은 단순한 책이 아니다. 이것은 문자 창제의 목적, 구조, 사용법을 모두 기록한 인류 역사상 유일무이한 기록이다. 세종 28년(1446년), 백성을 위해 새로운 문자를 만든다는 숭고한 뜻에서 훈민정음이 반포되었고, 그 원리와 체계를 정리한 것이 바로 해례본이다. 간략한 서문인 ‘예의’와 학자들이 정리한 ‘해례’로 구성된 이 책은 한글이 단순한 문자 체계가 아닌 과학적이고 철학적인 체계임을 보여준다. 해례본은 1940년 간송 전형필에 의해 세상에 알려지며, 일제강점기 언어말살 정책에 대항하는 문화적 저항의 상징이 되었다. 훈민정음은 단순히 문자를 만드는 기술적 작업이 아니었다. 그것은 백성을 향한 깊은 애정에서 비롯된 결정이자, 언어를 통해 사회적 평등을 이루고자 했던 지적·정치적 혁명이었다. 세종의 한글 창제는 단순한 개혁이 아닌, 조선이라는 나라의 문화적 독립 선언이었으며, 이는 이후 민족 정체성의 근간이 되었다.  해례본은 그 정신을 가장 명확하게 담고 있는 기록물이며, 오늘날 우리가 한글을 사용하는 일상 속에도 그 위대한 철학이 살아 숨 쉰다.    한글의 설계도, 훈민정음 해례본의 위대함 훈민정음 창제의 철학과 구조 백성을 위한 문자, 예의의 정신 훈민정음 서문에 담긴 핵심은 "나라말이 중국과 달라..."라는 대목이다. 이는 기존 한자로는 백성이 자기 말을 표현할 수 없다는 현실에 대한 세종의 통찰에서 비롯된 것이다. 언어는 단순한 의사소통 수단이 아닌, 민족의 자존심이며 사고방식과 세계관의 표현이다. 세종은 민본주의 정신에 따라 누구나 쉽게 배우고 쓸 수 있는 문자 창제를 결심했고, 이는 문자사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왕이 주도한 문자 창제’라는 점에서 더욱 특별하다. 인체를 닮은 자음과 모음의 원리 해례본에는 한글 자음과 모음의 창제 원리가 체계적으로 담겨 있다. 자음은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고, 모음은 하늘ㆍ땅ㆍ사람을 상징하는 철학적 원리에서 출발한다.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습을, ㅁ은 입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