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세종대왕인 게시물 표시

한글의 설계도, 훈민정음 해례본의 위대함

이미지
훈민정음 해례본은 단순한 책이 아니다. 이것은 문자 창제의 목적, 구조, 사용법을 모두 기록한 인류 역사상 유일무이한 기록이다. 세종 28년(1446년), 백성을 위해 새로운 문자를 만든다는 숭고한 뜻에서 훈민정음이 반포되었고, 그 원리와 체계를 정리한 것이 바로 해례본이다. 간략한 서문인 ‘예의’와 학자들이 정리한 ‘해례’로 구성된 이 책은 한글이 단순한 문자 체계가 아닌 과학적이고 철학적인 체계임을 보여준다. 해례본은 1940년 간송 전형필에 의해 세상에 알려지며, 일제강점기 언어말살 정책에 대항하는 문화적 저항의 상징이 되었다. 훈민정음은 단순히 문자를 만드는 기술적 작업이 아니었다. 그것은 백성을 향한 깊은 애정에서 비롯된 결정이자, 언어를 통해 사회적 평등을 이루고자 했던 지적·정치적 혁명이었다. 세종의 한글 창제는 단순한 개혁이 아닌, 조선이라는 나라의 문화적 독립 선언이었으며, 이는 이후 민족 정체성의 근간이 되었다.  해례본은 그 정신을 가장 명확하게 담고 있는 기록물이며, 오늘날 우리가 한글을 사용하는 일상 속에도 그 위대한 철학이 살아 숨 쉰다.    한글의 설계도, 훈민정음 해례본의 위대함 훈민정음 창제의 철학과 구조 백성을 위한 문자, 예의의 정신 훈민정음 서문에 담긴 핵심은 "나라말이 중국과 달라..."라는 대목이다. 이는 기존 한자로는 백성이 자기 말을 표현할 수 없다는 현실에 대한 세종의 통찰에서 비롯된 것이다. 언어는 단순한 의사소통 수단이 아닌, 민족의 자존심이며 사고방식과 세계관의 표현이다. 세종은 민본주의 정신에 따라 누구나 쉽게 배우고 쓸 수 있는 문자 창제를 결심했고, 이는 문자사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왕이 주도한 문자 창제’라는 점에서 더욱 특별하다. 인체를 닮은 자음과 모음의 원리 해례본에는 한글 자음과 모음의 창제 원리가 체계적으로 담겨 있다. 자음은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고, 모음은 하늘ㆍ땅ㆍ사람을 상징하는 철학적 원리에서 출발한다.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습을, ㅁ은 입을 ...

측우기, 조선이 만든 세계 최초의 비 측정 도구

이미지
비가 내리는 날, 우리는 우산을 챙기고 날씨 앱을 확인해요. 그런데 아주 오래 전 조선 시대에는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어떻게 알았을까요? 바로 ‘측우기’라는 특별한 도구를 만들었어요. 측우기는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숫자로 정확히 재는 기계였어요. 놀랍게도 이 도구는 세계에서 가장 먼저 조선에서 만들었답니다. 특히 세종대왕 시대에 만들어졌고, 이 도구를 사용해서 농사를 잘 지을 수 있도록 도왔어요. 이번 글에서는 측우기가 어떻게 만들어졌고, 왜 중요했는지, 또 나중에는 어떻게 다시 복원되었는지를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알기 쉽게 알려줄게요. 측우기, 조선이 만든 세계 최초의 비 측정 도구 측우기의 탄생 – 비를 숫자로 재기 시작했어요 세종대왕의 아들, 세자가 실험을 했어요 조선 시대에는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눈으로 보고 땅이 얼마나 젖었는지 살펴보는 식으로 확인했어요. 그런데 이 방법은 정확하지 않았어요. 그래서 세종대왕의 아들이었던 세자가 구리 그릇을 만들어서 직접 비를 받아보는 실험을 했어요. 그걸 계기로 ‘측우기’를 만들자는 이야기가 나왔어요. 세종대왕은 서운관이라는 천문 기구를 만드는 기관에 명령해서, 높이 2척, 지름 8촌인 쇠그릇을 만들게 했어요. 이 그릇은 돌로 만든 받침대 위에 올려두고, 비가 오면 빗물을 받아서 자로 깊이를 재는 방식이었어요. 숫자로 비의 양을 재는 시대가 열렸어요 측우기는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척, 촌, 분'이라는 단위로 재었어요. 이것은 지금의 센티미터처럼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예요. 조선 전역에 측우기를 설치해서 각 지역에서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기록하고, 임금에게 보고하게 했어요. 이 덕분에 비가 오지 않아 가뭄이 들거나, 비가 너무 많이 와서 홍수가 날 때, 나라에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었어요. 비를 기다리며, 임금님도 기도했어요 정조 임금님의 기우제와 측우기 조선의 정조 임금님은 비가 오지 않아 백성들이 힘들어할 때, 직접 기우제를 지냈어요. 기우제는 하늘에 비를 내려달라고 기도하는 행사예요. 정조는 남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