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하사창동 철불

우리가 박물관을 찾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전시는 무엇일까요? 유물, 유적, 조각상 등 다양한 것들이 떠오르지만, 어떤 하나가 사람의 시선을 압도할 만큼 압도적인 존재감을 지닌다면 바로 그것이 주목할 가치가 있는 유물일 것입니다. 오늘 소개할 유물은 국립중앙박물관 불교조각실에서 가장 깊숙한 방에 자리한 거대한 철불입니다. 경기도 하남시 하사창동 절터에서 출토된 이 불상은 높이 2.81미터, 무게 6.2톤이라는 국내 최대의 철불로, 보는 이로 하여금 단숨에 숨을 멈추게 할 만큼의 위엄을 지니고 있습니다. 단순히 불상의 조각미를 넘어서서, 이 철불은 고려시대의 역사, 기술, 정치, 종교 등 복합적인 의미를 담고 있어 더 깊은 이해를 요구합니다. 지금부터 이 철불의 조성과 역사, 의미를 따라가 보겠습니다. 광주 하사창동 철불 1. 고려시대 철불의 조형미와 위용 국내 최대의 철불이 주는 압도감 이 철불은 단순한 조형물이 아닙니다. 지금도 1미터 높이의 대좌 위에 앉아 있어 실제 관람자에게는 4미터에 가까운 위용으로 다가옵니다. 강렬한 어깨선과 2미터가 넘는 무릎 간 너비, 그리고 짙은 철의 색감에서 오는 육중한 느낌은 보는 사람을 자연스레 고개 숙이게 합니다. 다른 밝고 자비로운 분위기의 불상과 달리, 이 철불은 무게감과 신비로움, 그리고 강력한 존재감을 지닌 초월적 형상으로 다가옵니다. 여기에 덧입혀졌을 황금빛 도금 흔적은 과거 이 철불이 얼마나 장엄하게 봉안되었는지를 상상하게 해줍니다. 철불의 조형적 특징과 석굴암의 유사성 불상의 자세는 오른손을 무릎 위에 올린 항마촉지인으로, 석굴암 본존불과 비슷한 구도를 보여줍니다. 무릎 앞에 펼쳐진 부채꼴 주름, 한쪽 어깨를 드러낸 법의, 짙은 철재의 색감은 일반적인 석조나 금동 불상과는 완전히 다른 느낌을 줍니다. 얼굴 표정은 자비보다는 위엄과 무게를 드러내며, 보는 이로 하여금 신적인 존재와 마주한 듯한 감정을 자아냅니다. 이는 단순한 예술작품이 아니라 믿음과 권위의 상징으로 해석될 수 있는 중요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