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조선의 과학 자연과 과학 역사 속 기록과 행정 과학으로 본 역사인 게시물 표시

수표석: 조선이 물을 다스린 과학, 세종의 수위 측정 시스템

이미지
여름철이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뉴스가 있다. 바로 한강 교각의 수위가 몇 미터를 넘었다는 보도다. 우리가 무심코 지나치는 교각의 눈금은 사실상 홍수 경보의 기준선이자 재난 대응을 위한 중요한 과학적 지표다. 놀랍게도 이러한 수위 측정 방식은 600년 전 조선시대부터 이미 사용되어 왔다. 조선은 세종대왕 시대에 이미 물의 높이를 기록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체계를 갖추고 있었다. 세종은 세계 최초의 강우량 측정기인 측우기를 만든 동시에, 비가 내린 후 하천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표를 세웠다. 수표는 단순히 돌에 눈금을 새긴 구조물이 아니었다. 그것은 관료들이 수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며, 실록에 기록까지 남기는 국가적인 과학 행정의 산물이자 홍수 대비 전략이었다. 특히 청계천과 한강에 설치된 수표는 지금도 일부가 남아 있어, 조선의 과학과 행정의 흔적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이 글에서는 조선의 수표가 언제, 어떤 방식으로 등장했는지, 그리고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세종부터 영조 시대까지 따라가 본다. 수표석: 조선이 물을 다스린 과학, 세종의 수위 측정 시스템 세종대왕, 수표를 세우다 기후 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과학의 출발 조선은 여름 장마철에 집중되는 폭우로 인해 자주 홍수를 겪었다. 태종 4년에는 개성에 내린 폭우로 인해 성벽이 무너지고 수십 명이 익사하는 큰 피해가 발생했으며, 한양에서도 청계천 주변이 자주 범람해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했다. 이에 세종은 하늘의 비를 측정하는 측우기와 함께, 강과 하천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표 설치를 명령했다. 수표는 정사각형 돌 위에 두 개의 부석을 세우고 그 사이에 나무기둥을 박아 눈금을 새기는 방식이었다. 척, 촌, 분 단위로 물 높이를 표시했고, 담당 관료가 이를 측정해 중앙관청에 보고하게 했다. 측량 결과는 ‘수표단자’라는 명칭으로 카드에 기록되었고, 이 자료는 후일 실록을 편찬할 때 참고자료로 활용되었다. 과학적 수치를 국가 정책에 반영하는 체계가 이미 세종 때부터 존재했던 것이다. 청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