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과학문화재인 게시물 표시

조선시대 하늘을 읽던 장소, 광화방 관천대 이야기

이미지
“하늘을 보면 미래를 알 수 있을까?” 조선 시대 사람들은 그렇게 믿었어요. 하늘의 별과 해, 달의 움직임을 보면서 땅에서 일어날 일들을 미리 예측하고자 했죠. 그 중심에는 바로 ‘관천대’라는 곳이 있었어요. ‘관천대’는 하늘을 관찰하기 위한 높은 대(臺)로, 오늘날로 치면 천문대와 비슷해요. 그 중에서도 조선시대 한양, 지금의 서울 종로에 있던 ‘광화방 관천대’는 조선 왕들이 직접 하늘을 살피게 했던 아주 특별한 장소였어요. 관천대는 신라 시대 경주의 ‘첨성대’와 함께 비교되는 천문대 유적으로, 조선 시대 과학과 정치가 만나는 상징적인 장소였어요. 관상감이라는 국가 천문 기관이 이곳에서 하늘을 살피고, 천문 현상을 기록하며, 나라의 길흉화복을 예측했어요. 이번 글에서는 조선의 하늘을 지켜보던 광화방 관천대와 그 위에 올려졌던 특별한 과학 기구 ‘소간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조선시대 하늘을 읽던 장소, 광화방 관천대 이야기 관천대는 어떤 곳이었을까? 조선의 천문대, 광화방 관천대 조선은 나라를 세운 뒤 한양의 북쪽 지역인 광화방에 '서운관'이라는 천문 기관을 만들었어요. 그 안에 천체를 관찰할 수 있는 높은 돌 구조물, 즉 관천대를 쌓았죠. 지금은 ‘관상감 관천대’라는 이름으로 사적 제296호로 지정되어 있고, 종로구 원서동에 위치한 현대건설 사옥 안에 남아 있어요. 이 관천대는 9단으로 돌을 쌓아 만들었고, 그 위에 ‘소간의’라는 천문 관측 장비를 올려놓았기 때문에 ‘소간의대’라고도 불렸어요. 관천대는 별을 보는 장소, 즉 ‘첨성대’의 기능을 했기 때문에 ‘조선의 첨성대’라고 불러도 좋을 만큼 중요한 곳이었답니다. 하늘을 통해 정치를 바로잡다 조선에서는 천문 현상을 단순히 과학으로 보지 않았어요. 별의 움직임이나 혜성의 출현 같은 하늘의 변화는 나라에 좋은 일이나 나쁜 일이 생긴다는 신호로 여겼죠. 임금은 하늘의 움직임을 보며 정치를 반성하고, 백성의 삶을 더 나아지게 하기 위한 결정을 내렸어요. 그래서 하늘을 관찰하는 일은 단지 과학이...

측우기, 조선이 만든 세계 최초의 비 측정 도구

이미지
비가 내리는 날, 우리는 우산을 챙기고 날씨 앱을 확인해요. 그런데 아주 오래 전 조선 시대에는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어떻게 알았을까요? 바로 ‘측우기’라는 특별한 도구를 만들었어요. 측우기는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숫자로 정확히 재는 기계였어요. 놀랍게도 이 도구는 세계에서 가장 먼저 조선에서 만들었답니다. 특히 세종대왕 시대에 만들어졌고, 이 도구를 사용해서 농사를 잘 지을 수 있도록 도왔어요. 이번 글에서는 측우기가 어떻게 만들어졌고, 왜 중요했는지, 또 나중에는 어떻게 다시 복원되었는지를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알기 쉽게 알려줄게요. 측우기, 조선이 만든 세계 최초의 비 측정 도구 측우기의 탄생 – 비를 숫자로 재기 시작했어요 세종대왕의 아들, 세자가 실험을 했어요 조선 시대에는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눈으로 보고 땅이 얼마나 젖었는지 살펴보는 식으로 확인했어요. 그런데 이 방법은 정확하지 않았어요. 그래서 세종대왕의 아들이었던 세자가 구리 그릇을 만들어서 직접 비를 받아보는 실험을 했어요. 그걸 계기로 ‘측우기’를 만들자는 이야기가 나왔어요. 세종대왕은 서운관이라는 천문 기구를 만드는 기관에 명령해서, 높이 2척, 지름 8촌인 쇠그릇을 만들게 했어요. 이 그릇은 돌로 만든 받침대 위에 올려두고, 비가 오면 빗물을 받아서 자로 깊이를 재는 방식이었어요. 숫자로 비의 양을 재는 시대가 열렸어요 측우기는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척, 촌, 분'이라는 단위로 재었어요. 이것은 지금의 센티미터처럼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예요. 조선 전역에 측우기를 설치해서 각 지역에서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기록하고, 임금에게 보고하게 했어요. 이 덕분에 비가 오지 않아 가뭄이 들거나, 비가 너무 많이 와서 홍수가 날 때, 나라에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었어요. 비를 기다리며, 임금님도 기도했어요 정조 임금님의 기우제와 측우기 조선의 정조 임금님은 비가 오지 않아 백성들이 힘들어할 때, 직접 기우제를 지냈어요. 기우제는 하늘에 비를 내려달라고 기도하는 행사예요. 정조는 남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