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우기, 조선이 만든 세계 최초의 비 측정 도구
비가 내리는 날, 우리는 우산을 챙기고 날씨 앱을 확인해요. 그런데 아주 오래 전 조선 시대에는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어떻게 알았을까요? 바로 ‘측우기’라는 특별한 도구를 만들었어요. 측우기는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숫자로 정확히 재는 기계였어요. 놀랍게도 이 도구는 세계에서 가장 먼저 조선에서 만들었답니다. 특히 세종대왕 시대에 만들어졌고, 이 도구를 사용해서 농사를 잘 지을 수 있도록 도왔어요.
이번 글에서는 측우기가 어떻게 만들어졌고, 왜 중요했는지, 또 나중에는 어떻게 다시 복원되었는지를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알기 쉽게 알려줄게요.
![]() |
측우기, 조선이 만든 세계 최초의 비 측정 도구 |
측우기의 탄생 – 비를 숫자로 재기 시작했어요
세종대왕의 아들, 세자가 실험을 했어요
조선 시대에는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눈으로 보고 땅이 얼마나 젖었는지 살펴보는 식으로 확인했어요. 그런데 이 방법은 정확하지 않았어요. 그래서 세종대왕의 아들이었던 세자가 구리 그릇을 만들어서 직접 비를 받아보는 실험을 했어요. 그걸 계기로 ‘측우기’를 만들자는 이야기가 나왔어요.
세종대왕은 서운관이라는 천문 기구를 만드는 기관에 명령해서, 높이 2척, 지름 8촌인 쇠그릇을 만들게 했어요. 이 그릇은 돌로 만든 받침대 위에 올려두고, 비가 오면 빗물을 받아서 자로 깊이를 재는 방식이었어요.
숫자로 비의 양을 재는 시대가 열렸어요
측우기는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척, 촌, 분'이라는 단위로 재었어요. 이것은 지금의 센티미터처럼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예요. 조선 전역에 측우기를 설치해서 각 지역에서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기록하고, 임금에게 보고하게 했어요. 이 덕분에 비가 오지 않아 가뭄이 들거나, 비가 너무 많이 와서 홍수가 날 때, 나라에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었어요.
비를 기다리며, 임금님도 기도했어요
정조 임금님의 기우제와 측우기
조선의 정조 임금님은 비가 오지 않아 백성들이 힘들어할 때, 직접 기우제를 지냈어요. 기우제는 하늘에 비를 내려달라고 기도하는 행사예요. 정조는 남산에서 기우제를 지내고, 측우기로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직접 확인했어요. 이날 측우기로 잰 비의 깊이는 ‘1촌 5푼’이었다고 해요.
이후 정조는 궁궐 근처에 측우기를 설치하게 했고, 그 옆에 왜 이 도구가 중요한지를 적은 글도 새기게 했어요. 그 글에는 “비가 너무 적으면 가뭄이 걱정되고, 너무 많으면 홍수가 날까 걱정된다”는 말이 적혀 있었어요.
과학과 마음이 함께한 측우기
이처럼 측우기는 단순히 과학 기구가 아니었어요. 백성을 생각하는 임금님의 마음이 담긴 그릇이었어요. 비가 오지 않으면 걱정하고, 비가 오면 얼마나 왔는지 확인하고, 그 기록을 남겨서 모두가 대비할 수 있도록 했던 거죠. 이 측우기에는 조선 사람들의 지혜와 정성이 담겨 있었답니다.
잃어버렸다가 다시 만든 측우기
영조 임금님이 다시 만들었어요
시간이 지나면서 전쟁도 있고 하다 보니, 원래 있던 측우기들이 사라졌어요. 그래서 영조 임금님은 옛날 기록을 바탕으로 측우기를 다시 만들기로 했어요. 예전에 사용하던 자도 ‘경신척’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만들었어요. 측우기는 청동으로 만들었고, 자는 대나무로 만들었다고 해요. 돌로 만든 받침대도 다시 만들어서, 측우기를 올려놓았어요.
금영측우기와 비의 기록
그 후 헌종 3년(1837년)에 만들어진 ‘금영측우기’는 18년 동안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자세히 기록했어요. 이 측우기는 3단으로 나눌 수 있게 되어 있었고, 안에 괸 물을 자로 재기 쉽게 만들었어요. 여러 사람들이 당번을 서면서 비가 오면 그 수치를 기록했답니다.
이 기록들은 지금도 역사 자료로 남아 있고, 조선이 얼마나 과학적으로 비를 관찰했는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증거예요.
조선의 자랑, 측우기의 특별한 가치
세계에서 제일 먼저 만든 우량계
지금은 전 세계에서 비의 양을 재지만, 측우기를 가장 먼저 만든 나라는 조선이에요. 서양에서는 17세기나 18세기에 이런 도구를 만들기 시작했지만, 조선은 무려 15세기, 세종 시대에 이미 측우기를 만들었어요. 이 사실은 한국이 과학 기술이 앞섰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예요.
농사, 정치, 백성을 잇는 다리
측우기는 과학 기구이면서도, 백성의 생활을 지키는 도구였어요. 비가 와야 농사가 잘 되고, 먹을 것이 생기고, 모두가 편하게 살 수 있으니까요. 임금님도 측우기를 통해 백성의 삶을 살펴보고, 필요한 결정을 내릴 수 있었어요. 조선의 측우기는 단순한 과학이 아니라, 사람을 위한 과학이었어요.
측우기는 조선의 지혜였어요
측우기는 조선 시대 사람들이 하늘을 관찰하고, 과학을 사용해서 백성을 보호하려 했던 지혜의 산물이었어요. 실험으로 시작해서, 실제로 사용하고, 잃어버린 것을 다시 만들고, 그 기록을 지금까지도 남긴 놀라운 발명품이죠.
오늘날 우리가 날씨 앱으로 비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것도, 바로 이런 조선의 측우기 덕분이라고 볼 수 있어요. 이 작은 그릇 안에는 과학, 정성, 그리고 백성을 위한 사랑이 담겨 있었답니다.
측우기는 그냥 비를 재는 도구가 아니라, 조선이라는 나라가 얼마나 백성을 위하고 자연을 소중히 생각했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이었어요. 임금님은 비가 오지 않으면 백성을 걱정하고, 비가 너무 많이 오면 또 백성을 걱정했어요. 이런 마음이 바로 측우기를 만들게 한 힘이었답니다.
그래서 우리는 측우기를 단순히 옛날 물건으로 보는 게 아니라, 조선의 따뜻한 과학정신이 담긴 유산으로 바라봐야 해요. 아이들이 오늘 이 글을 통해 조선의 과학과 마음을 함께 느꼈다면, 그것이 바로 측우기가 전해주는 가장 큰 선물이 아닐까요?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서도, 하늘을 보고, 날씨를 이해하고, 서로를 걱정하는 그 마음은 여전히 필요해요. 조선의 측우기는 바로 그런 마음을 잊지 말라고 말해주는 조용한 선생님 같은 존재랍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