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성덕대왕신종인 게시물 표시

성덕대왕신종, 세상을 울리는 1300년의 소리– 에밀레종에 담긴 신라의 기술과 전설

이미지
‘종’은 단순한 소리를 내는 도구일까요? 사실 종은 단순한 도구를 넘어, 그 시대의 기술과 예술, 믿음과 정성을 모두 담아낸 문화유산이기도 합니다. 그중에서도 우리나라에서 가장 유명한 종이 바로 성덕대왕신종 , 또 다른 이름으로 에밀레종 입니다. 이 종은 1300년 전 신라시대에 만들어진 국보 제29호 로, 지금은 경주 국립박물관 야외 전시관 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이 종은 소리만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그 속에 깃든 이야기와 조형미, 그리고 과학적 설계까지 주목받고 있습니다. ‘에밀레~’ 하는 소리는 단순한 울림이 아니라, 마치 하늘과 땅을 잇는 듯한 깊은 감동을 줍니다. 성덕대왕신종은 신라의 뛰어난 기술력과 예술 감각이 고스란히 담긴 결과물로,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유산 중 하나로 손꼽힙니다. 오늘은 이 특별한 종이 왜 그렇게 유명한지, 어떤 모습과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 소리의 비밀은 무엇인지 천천히 알아보려 합니다. 이제부터 ‘미소’와 함께 1300년 전 그 울림 속으로 걸어가 볼까요? 성덕대왕신종, 세상을 울리는 1300년의 소리 위 사진은 **위키미디어 커먼즈(Wikimedia Commons)**에서 제공된 이미지로, CC BY-SA 4.0 라이선스 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되었습니다. 출처: 사진 보기 1. 성덕대왕신종은 어떤 종인가요? 1-1. 신라 왕의 효심에서 태어난 위대한 종 성덕대왕신종은 신라 경덕왕이 아버지인 성덕왕의 공덕을 널리 알리기 위해 만들기 시작한 종 입니다. 하지만 경덕왕은 이 종을 완성하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고, 그 뒤를 이은 혜공왕이 771년에 종을 완성하면서 성덕대왕신종이라는 이름 이 붙여졌습니다. 원래는 **경주 봉덕사에 걸려 있었기 때문에 ‘봉덕사종’**이라고도 불렸습니다. 현재는 경주 국립박물관의 야외 전시장에 전시되어 누구나 관람할 수 있습니다. 이 종은 높이가 3.75미터, 아랫부분의 지름이 2.27미터, 무게는 18.9톤으로,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가장 크고 오래된 종 입니다. 1-2. 아기의 울...